관급자재 추출하는 방법 안내
관급자재 추출하기 : 관공서 내역 작성시 각 공종에 들어있는 관급자재 및 작업부산물 등을 별도로 추출하기 위한 기능입니다.
- 예시로 견적작업 내역서(을지) 내 @관급자재, *@관급자재, @사급자재, @운반비를 넣었습니다.
- @관급자재는 재료비만 지급되는 항목이고, *@관급자재(*@표시)는 재료비, 노무비 전체가 지급되는 항목입니다.
- 운반비를 비롯하여 작업부산물, 폐기처리물 등의 금액도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가능합니다.
- 견적작업 [ 총괄표 ] 화면에서 [ 도구 ] – [ 관급자재 추출하기 ] 를 클릭합니다.
- 각 내역서상의 @속성의 지급 내용이 공종으로 만들어져 추출된 화면입니다. (마지막 공종의 다음 항목부터 순차적으로 생성)
- 관급자재의 경우 @관급자재 설정시 [ 도급자관급 ], *@관급자재 설정시 [ 관급자관급 ]으로 공종이 추출됩니다.(상단 그림 내 4, 12 번 줄)
※ 주의사항 1 : 관급자 관급으로 추출된 경우 내역에 노임을 포함하려면 추출된 내역서 을지로 들어가 따로 옵션계산을 해야 합니다.
※ 주의사항 2 :
상단 화면 녹색 네모표시 부분처럼 예를들어 2. 전력간선공사에 관급자관급 자재(*@관급자재 표기된 자재)가 없을 경우
6-2. 공종을 비우고 6-1. 수변전실공사 다음으로 6-3. 동력공사가 나타납니다. (관급자재가 사용되지 않은 공종은 비워집니다.)
그렇지만 좌측의 레벨 항목은 공종번호와 별개로 순서대로 정리( 6 | 1 / 6 | 2 )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계산작업시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.
▷ 이렇게 분개된 관급 공종의 금액은 원가계산서에까지 링크됩니다.
- 원가계산서의 일부 화면입니다.
- 공식에 을지에서 넣었던 지급속성의 이름을 @를 포함하여 동일하게 입력하고 옵션계산을 하면 금액이 자동으로 링크됩니다.
예를들어 운반비를 넣고자 할 경우 29줄 공식란에 @운반비를 기재하고 요율을 작성하고 옵션계산을 합니다.
작업부산물, 폐기처리물 비용도 동일하게 설정하여 사용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