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출의 총괄표와 내역서 설명
산출작업은 총괄표와 내역서로 구분되어 있습니다.
- 총괄표에는 작업할 공종, 수량, 층고, 천정내 높이 등을 등록하고 내역서( 을지 )에는 해당 공종의 산출작업을 합니다.
▷ 총괄표에서 내역서로 화면을 이동하는 3 가지 방법
1. 번호열의 해당 공종 [ ≡ 2* ] 버튼을 마우스로 클릭 (번호 옆에 * 표시(예: [ ≡ 1* ] )는 내역서에 작업한 내용이 있다는 표시)
2. 번호열의 해당 공종에 커서를 놓고 [ Enter ] 키를 입력
3. [ 내역서 ] 버튼을 클릭
▷ 내역서에서 총괄표로 이동하는 2 가지 방법
1. [ Esc ] 키를 입력 ( 이 때 작업한 내용의 저장 여부를 물어 오면 [예](Enter) 또는 [아니오]를 합니다. )
2. [ 총괄표 ] 버튼을 클릭합니다.
▷ 총괄표를 거치지 않고 내역서에서 다른 내역서로 이동하는 3 가지 방법
1. 내역서 작업중 [ Ctrl + PgUp ], [ Ctrl + PgDn ] 키 입력
2. 우측 상단의 공종 넘기기 버튼을 사용
3. 화면의 해상도가 큰 경우엔 우측에 리스트 박스가 나타나는데, 이 리스트 박스에서 공종을 직접 선택
▷ 산출 내역서의 구성
1. 구분: 산출목록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때 사용합니다. (인쇄는 안되는 구간)
2. 산출목록: 산출대상의 목록입니다.
3. 산출수식: 산출대상의 산출근거를 넣는 곳이며 (특수)문자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.
이때 글자, 특수문자는 무시하고 모든 숫자를 자동으로 합산됩니다. 상단을 예로들면 1번 줄의 경우 1+5+7+2.5+14+40으로 합산되어 69.5 값이 계에 적용됩니다.
4. 총 길이는 40Byte(바이트)로 제한되어 있습니다. 한글과 특수문자는 1글자당 2바이트, 영문과 숫자는 1글자당 1바이트 입니다.
5. 계: 산출수식에 대한 결과 값입니다.
6. 산출 일위대가: 우측에 보이는 보조화면으로 한 개의 산출목록에 대해 15개까지의 세부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.
앞서 안내된 < 산출기본 – 산출작업의 기본이론 > 항목에 정리되어 있습니다.